북한 이탈 여성들을 위한 폭력 피해 예방 및 지원 프로그램인 북한이탈여성 폭력피해 예방 및 지원 서비스를 소개합니다. 이 서비스는 탈북 이후 트라우마를 겪은 북한 이탈 여성들에게 전문 상담 및 심리치유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접수기한은 각 접수기관별로 상이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북한이탈여성 폭력피해 예방 및 지원
지원유형 | 기타(교육) || 기타(상담) |
---|---|
서비스명 | 북한이탈여성 폭력피해 예방 및 지원 |
서비스목적 | 탈북 이후 트라우마를 경험한 북한 이탈 여성들에게 전문상담 및 심리치유 프로그램 지원 |
신청기한 | 접수기관 별 상이 |
지원대상 | 북한이탈여성 |
선정기준 | 지원대상과 동일 |
지원내용 |
|
신청방법 | 방문 |
구비서류 | 아래 참조 |
접수기관명 | 여성가족부 |
문의처 | 여성가족부 권익증진국 권익보호과/02-2100-6424 |
온라인신청사이트URL | 아래 참조 |
소관기관명 | 여성가족부 |
북한이탈여성 폭력피해 예방 및 지원 서비스는 탈북 이후 트라우마를 경험한 북한 이탈 여성들에게 전문상담 및 심리치유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북한이탈여성을 대상으로 하며, 상담소 및 센터를 통해 상담 서비스와 심리치유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이 서비스는 북한이탈여성이 많은 지역의 가정폭력, 성폭력 상담소, 건강가정 센터 등을 전담센터로 지정하여 운영합니다. 또한, 탈북 이후 트라우마를 경험한 여성들에게는 전문상담원 및 동료상담원을 통해 상담 서비스 및 심리치유 프로그램을 지원합니다。
현재 북한 이탈 여성 상담 및 심리치유센터는 서울, 경기, 인천, 부산, 충남, 대구, 광주, 경남 등지에서 운영되고 있습니다. 센터는 여성 인권을 지원하는 사람들, 새롭고하나된조국을위한모임, 건강가정지원센터, 햇살맑은심리상담센터 인하심리치료연구소, 여성문화인권센터 등에서 운영되고 있습니다.
신청 방법은 방문을 통해 이루어지며, 필요한 구비서류는 해당 사이트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신청은 여성가족부에서 접수되며, 권익증진국 권익보호과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해당 사이트의 URL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여성가족부 소관기관에서 운영되고 있습니다. 북한이탈여성들에게 상담과 심리치유를 제공하여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안정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서비스입니다.